폭염은 열사병, 열경련 등의 온열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가축·수산물 폐사 등의 재산피해와 여름철 전력 급증 등으로 생활의 불편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더위가 잦은 여름철에는 다음 사항을 숙지하여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합니다.
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폭염이 예보된 때에는 최대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주변의 독거노인 등 건강이 염려되는 분들의 안부를 살펴봅니다.
폭염에 대한 특보 기준과 질병상식 등을 미리 알아두고 폭염특보나 응급상황 시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종류 | 주의보 | 경보 |
---|---|---|
폭염 | 일 최고기온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일 최고기온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종류 | 증상 | 대처요령 |
---|---|---|
땀띠(한진) | 땀을 많이 흘려 피부가 자극을 받으면 붉은색이나 무색의 좁쌀 같은 발진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긁으면 땀구멍이 막혀서 피부 상태가 나빠지고 화상이나 습진으로 악화될 수 있다. | 일단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고, 땀에 젖은 옷을 마른 옷으로 갈아입히고 상처 부위를 잘 닦아 주어야 한다. 환자가 가려움증을 호소할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에 따라 항히스타민을 처방할 수 있다. |
열경련 | 땀을 많이 흘렸을 때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수분과 염분이 부족해서 생기는 것으로 주로 근육 중심으로 경련이 일어나는 증상이다. 심하면 현기증과 구토를 유발한다. | 환자는 그늘에서 쉬게 하고 소금을 물에 녹여 섭취하게 해주어야 한다. 의사의 진료에 따라 조치한다. |
열사병 |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몸의 열이 발산하지 못하여 생기는 병으로 높은 온도와 습도에 방치되거나 바람이 통하지 않는 뜨거운 방에 오래 있을 경우 발생될 수 있다. 열사병이 생기면 얼굴이 창백해지고 식은땀이 나며, 현기증이나 순간적으로 정신착란을 일으킬 수 있다. | 즉시 119에 신고하고, 환자를 그늘로 옮겨 겉옷을 벗기고, 미지근한 물로 몸을 적셔 체온이 내려가도록 한 후 의사·의료기관 등의 지시에 따른다. |
울열증 | 태양열 아래 오랜 시간 노출되었을 경우 체온은 매우 높지만 땀이 나지 않는 상태가 되고 두통과 구토 증세를 동반하며 심할 경우 의식을 잃을 수 있다. | 그늘로 옮겨 겉옷을 벗기고 미지근한 물로 옷을 적셔 물이 증발하며 체온을 낮출 수 있다. 의식이 있을 경우 물을 주고, 체온이 돌아오면 옷이나 담요로 몸을 따뜻하게 하여 냉기를 없애준다. |
>화상 | 태양열로 인해서 피부가 그을리거나 수포까지 발생할 수 있다. 신체의 3분의 2이상 화상을 입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 그늘로 환자를 이동시켜 햇빛에 노출되지 않게 하고 피부에 수포가 생긴 경우에는 거즈를 이용하여 덮어 주되 세균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수포를 터뜨려서는 안 된다. |
자연재난에 대한 국민행동요령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http://www.safekorea.go.kr/)의 “국민행동요령” 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심지역
최근검색
관심지역
최근검색
관심지역
최근검색
관심지역
최근검색
개편된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지도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와 레이더영상, 전국 특보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내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과 대기질 상태, 일출/일몰 시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의 우측 상단 설정 기능을 통해 기본화면과 지도화면으로 기본 화면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영상·일기도 메뉴의 '날씨지도'를 통해 고해상도 지도 위에 기상자료(9종, 38개 요소)를 제공하여 날씨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날씨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좌측에 구성된 메뉴 영역을 클릭하여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날씨누리 홈페이지에 방문하게 되면 이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현재 위치 기준으로 날씨와 지도 정보가 제공됩니다.
현재 위치가 육상일 경우 정보 제공의 기준이 되는 현재 위치가 지도 우측에 표기되며, 현재 위치가 해상인 경우 ‘일일예보’ 페이지로 이동하여 해역 정보가 표기됩니다.
특정 지역을 조회시, 첫 화면에서 지도 상단의 검색창을 통해 지역별 육상날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육상지역 검색은 지역의 읍면동지역 뿐만 아니라 주요건물, 유명산, 공원 등 지명을 검색창에 입력하여 조회된 검색결과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다날씨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날씨누리 바다>바다예보>일일예보' 페이지에서 해역을 선택하여 해역별 바다날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육상지역이나 해역을 검색하여 최대 10개소까지 내 관심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위치 설정 혹은 검색을 통해 조회한 육상지역 및 해역은 위치 정보 우측의 별표를 클릭하여 관심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관심지역 설정 해제 또한 별표를 다시 클릭하여 해제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관심지역은 현재 위치 정보 우측의 화살표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중인 브라우저 캐시 영역에 저장되므로 캐시 삭제시 설정한 관심지역 정보가 초기화됩니다."
첫 화면 상단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여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기본화면, 지도화면) 및 풍속단위(m/s, km/h)를 맞춤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화면에서 기본화면과 지도화면 모드 중 방문 시 처음으로 보여지는 첫 화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지도화면 모드 설정시 '날씨지도'를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설정한 첫 화면 모드 및 풍속단위는 사용중인 브라우저 캐시 영역에 저장되므로 캐시 삭제시 설정한 관심지역 정보가 초기화됩니다.
날씨누리 첫화면에서 육상 및 해상의 현재 기상정보, 초단기 강수예측, 특보 상황을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시되는 정보는 지도 좌측 상단의 버튼을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지도는 제공되는 범위안에서 확대 및 축소하여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육상 및 해상의 관측정보는 지점을 클릭하여 더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영상은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연속된 이미지로 확인 가능합니다.
동네예보 시간별 예보보기 화면을 혼합형태, 그래프형태, 표형태로 총 3종을 제공하며,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날씨누리에서는 날씨정보 업데이트 시각은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업데이트 시각 정보는 데이터의 근처 혹은 페이지 하단에 제공됩니다.
날씨누리 홈페이지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는 Chrome, Edge, Firefox, Safari의 최신 버전입니다.
사용자 관심지역 정보는 사용중인 브라우저 캐시 영역에 저장되므로 인터넷 브라우저의 캐시/쿠키/검색기록 삭제 시 관심지역도 같이 초기화 됩니다. 브라우저에서 초기화 되지 않도록 설정하시면 관심지역 저장이 유지됩니다.
익스플로러(Explorer): 브라우저 상단의 메뉴 중 도구(T) > 인터넷옵션(O) > 일반 에서 중앙의 검색기록 - 종료할 때 검색기록 삭제 부분을 체크 해제 후 재접속 하시기 바랍니다.
크롬(Chrome): 브라우저 상단의 Chrome 맞춤설정 및 제어 > 설정(S) > 고급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메뉴에서 인터넷 사용기록,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캐시된 이미지 또는 파일을 삭제하였는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이어폭스(Firefox): 브라우저 상단에 있는 메뉴열기 > 설정 > 개인 정보 및 보안 > 방문기록 > Firefox의 방문기록을(W) [날리기]로 되어있다면 [남기기]로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는 개인 정보 및 보안 메뉴에서 쿠키, 캐시, 검색기록을 삭제하였는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및 기타 웹브라우저: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 캐시, 검색기록을 삭제하였는지 확인해주십시오.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중 자동으로 캐시/쿠키/검색기록을 정리하는 프로그램(예: 알약, v3, 컴퓨터 청소/프로세스 클린 프로그램 등)이 인터넷 브라우저의 캐시와 쿠키, 검색기록을 삭제하면 관심지역 설정이 초기화 됩니다.